민간 기업인 스페이스X가, 역사상 처음으로 자체 개발한 우주선에 사람을 태워 발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로서 민간 우주 산업시대에 한 발자국 더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스페이스X, 뭐 하는 곳이야?
스페이스X는 전기차 회사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2002년에 만든 우주항공 회사입니다. 스페이스 X는 ‘화성에 8만 명이 살 수 있는 곳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세웠으며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선 필요한 문제를 하나씩 해결해 나가고 있습니다. 지구에서 화성까지 왕복하려면, 상대적으로 가까운 우주정거장 정도는 자유롭게 다녀올 수 있어야 합니다. 문제는 우주선 발사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하는 ‘로켓’ 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비싼데, 일회용이기 때문에 재활용해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우선 여러 번 쓸 수 있는 로켓을 만들기로 하면서 엔진이 고장 나거나, 연료가 새는 등 치명적인 실수가 반복돼 ‘괴짜 부자가 하고 싶은 실험 하는 거다’라며 사람들이 기대를 접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16년엔 발사했던 로켓을 성공적으로 회수하고, 2017년에 로켓과 우주선을 재활용해서 발사하는 데 성공하면서, 사상 최초로 ‘로켓&우주선 재활용 시대’를 열게 되었습니다.
스페이스X로 사람을 태운 건 처음
스페이스X는 우주선 발사에 성공한 후 우주선 재활용을 계속하면서 인공위성을 쏘거나, ‘무인’ 우주선만을 운영하며 우주정거장에 물품을 보내는 용도로 쓰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스페이스X의 성과를 눈여겨보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연락합니다. “우리 우주왕복선 못 쏜 지 오래됐는데 너네 남는 자리 있으면 우리 비행사 좀 태워줘” 그 뒤 스페이스X는 준비 기간을 거쳐 5월 31일, 우주선 ‘크루 드래건’을 성공적으로 발사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합니다.
미국은 2011년 우주왕복선 운영을 멈추고 그 뒤로는 러시아 우주선을 빌려 탔는데 9년 만에 미국 안에서, 미국 기업이 만든 우주선으로 우주에 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우주에 가고 싶을 땐 티켓만 끊으면 되는 시대가 한 걸음 다가왔습니다. 우주선은 정부 차원에서만 운영했는데, 이제는 기업이 운영하니 비행기 표 끊듯 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번 발사를 스페이스X는 ‘데모-2’라고 부르고 있는데 아직 실험 중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주정거장까지는 성공적으로 갔지만, 다시 돌아오는 것까지 성공해야 ‘왕복’이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과연 일론 머스크는 50년 안에 ‘사람들이 화성에 여행하는 시대’를 열 수 있을까요?
크루 드래건의 선배, 우주왕복선
미국은 우주왕복선을 1981년부터 2011년까지 운영했습니다. 총 6대를 만들었고, 국제우주정거장을 짓기 위한 부품을 우주에 나르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2004년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우주왕복선에 쓸 돈을 달과 화성을 탐사하는 데 쓰겠다"라고 방향을 정하면서 2011년까지만 운행하게 되었고 그 이후로 운영이 끝났습니다.
크루 드래건이 무사히 도착한 곳, 국제우주정거장
지구에서 400km 떨어진 곳에 축구장만 한 공간이 있다면 믿기시나요? 바로 인간이 만든 국제우주정거장(ISS) 얘기입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 러시아 등 16개 나라가 참여해 만들었습니다. 부품을 나눠서 우주로 발사한 뒤, 우주에서 조립해 완성했습니다. ‘우주에서는 우리 몸이 어떻게 변할까?’ 등 우주에서만 해야 하는 실험을 하고 있으며 현재 지구 주위를 하루에 약 16번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심각하거나 웃기거나 > IT 및 디지털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보상금) 애플 삼성한테 1조를 준 이유는? (0) | 2020.07.20 |
---|---|
▷(인공지능이란?) 전 세계 인공지능 대회에서 1등한 LG (0) | 2020.07.09 |
▷(빅데이터) 카드 소비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문화 트렌드 (0) | 2020.06.10 |
▷(공인인증서 폐지) 공인인증서는 사라진다? 사설인증서 시장 열린다. (0) | 2020.06.04 |
▷(통신요금)유보신고제와 통신요금 인가제란? (0) | 2020.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