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각하거나 웃기거나/사회 뉴스

▷(기본소득) 기본소득 논쟁 요약, 전 국민 기본소득은 지급 가능할까?

by GRIT HOON BLOG 2020. 6. 15.

요즘 여의도 정치권에서 ‘기본소득’ 이야기가 주요하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본소득은 정부가 전 국민 개개인의 기본적인 소득을 보장하자는 개념입니다. 직업이 없고 국민이 일을 하든지 말든지 등 아무런 조건을 따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무조건’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주는 개념입니다.

정치인들의 기본소득 논쟁

지금 정치권에서는 대선 주자로 언급되는 정치인들이 기본소득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다음 대선의 핵심 쟁점이 될 수 있는 상황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여파로 긴급재난지원금을 주면서,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레 높아진 상태입니다. 여야 상관없이 기본소득 논쟁에 참여하고 있어서, 논쟁의 불씨가 쉽게 사그라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대선 주자도 의견이 갈렸는데 대선은 2년 정도 남았는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박원순 서울시장, 둘의 이야기 들어보자면: 

이재명 경기도지사 기본소득에 대한 답변



이재명: 꼭 도입해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조금씩 시작해 점차 확대해 나가는 방향이 좋은데 내가 성남시장일 때 ‘청년배당’ 해봤는데 확실히 지역 경제에도 좋고, 청년들이 더 탄탄히 취업 준비하는 데도 도움되었다는 의견입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박원순: 아직 현실적인 상황이 아니야 바로 도입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현재 소득이 적고, 위기에 빠진 사람들을 먼저 지원해야 하고  ‘전 국민 고용보험’이 먼저 시행된 이후로 되어 한다고 의견인데 이번에 코로나19 때도 고용보험 없어서 힘든 사람들 많았던 것처럼 예산은 우선 써야 할 곳에 먼저 써야 한다는 의견입니다. 

 


기본소득이란? 


전 국민에게 일정한 돈을 지급하면 경제 성장에도 도움 되고, 소득이 보장되면 삶의 질도 좋아질 거라는 점에 주목하는 정책입니다. 최근엔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신하게 되면 돈을 어떻게 버나?’ 입장에서도 이야기되고 있어 전 세계에서 오래전부터 꾸준히 관심을 두는 이슈입니다. 이에 관련해서 찬반 토론도 많이 했지만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예산을 어떻게 마련하느냐’입니다. 

기본소득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


이미 1970년대부터 2019년까지, 미국·인도·핀란드 등 다양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기본소득을 주는 실험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특정 지역에만 실험해본 게 대부분이었고 ‘나라’ 차원에서 시행한 곳은 아직은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접근은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 국민에게 10만 원씩 줄 경우 매년 60조 원, 30만 원씩 줄 경우 180조 원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지금 정부 예산이 1년에 500조 원 인 걸 고려하면, 예산을 어디서 마련할지는 꼭 풀어야 할 과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핵심으로 아래 2가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1. 세금 더 걷자 : 누구에게 얼마나 더 걷을 건지 논의가 필요한 상태로  토지세(종합부동산세)를 주로 더 걷자는 얘기가 있고, 환경세(탄소세)를 새로 만들자는 얘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2. 기존 예산 조정하자 : 저소득 노동자에게 주는 ‘근로장려금’이나, 만 7세 미만 아동 모두에게 주는 ‘아동수당’, 기초노인연금 등을 기본소득에 포함하자는 의견도 있습니다. 


기본소득과 비슷한 석유 팔아 배당한 알래스카 
다른 곳과 달리 ‘알래스카’는 1982년부터 기본소득과 비슷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바로 ‘영구기금배당’이라는 제도인데, 알래스카에서 석유가 나와 나라에서 석유를 팔고 받은 돈을 다른 곳에 투자해, 이익을 얻어 국민에게 나눠주고 있습니다. 매년 1회 주민 모두에게 지급하고, 수익에 따라 액수가 달라집니다. 

알래스카 영구기금 배당금 현황


가장 최근에 실험한 핀란드 기본소득 
핀란드는 2017년부터 2년 동안 기본소득을 주는 실험을 했습니다. 일자리를 잃은 20대 후반 2,000명에게, 매달 74만 원을 줬는데 그 가설, 결과, 효과가 나왔습니다. 


가설: 실업급여 대신 기본소득을 주면 일자리를 더 적극적으로 찾을 것이다. 
결과: 일자리를 더 적극적으로 찾지는 않아서, 고용을 늘리는 효과는 없었다. 
효과: 기본소득을 받은 사람의 생활 만족도가 높았고 정신 건강이나 미래에 대한 자신감이 올라갔다.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보고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