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각하거나 웃기거나/IT 및 디지털 뉴스

▷(천리안위성) 국내 기술 천리안 2B호, 정지궤도 위성 지위국 획득

by GRIT HOON BLOG 2020. 2. 26.

천리안 2B호는?


천리안 2B 호는 대기환경과 해양 정보를 관측하라는 임무를 위해서 발사된 위성입니다. 천리안 1호는 프랑스와 공동 개발했지만, 이번에 발사된 천리안 2호는 본체 설계부터 조립 그리고 시험까지 국내 기술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정지궤도 위성 기술 보유국 반열에 올라가게 되었습니다. 정지궤도 위성 기술을 가진 나라는 현재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중국, 러시아, 이스라엘 등 7개국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은 정지궤도 위성 기술 개발을 위해 2011년부터 천리안 2호 위성의 제작을 지원해 왔습니다

천리안 위성 비교


지난 수요일 무사히 지구를 떠난 천리안 2B 호는 앞으로 10년간 우주를 돌며, 대기환경과 해양관측 등 우리 삶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줄 예정입니다. 한국 위성 천리안 2호는 2A와 2B 이렇게 두 대로 나누어져 있는데 각 탑재체의 성능이 크게 향상됐기 때문입니다. 고성능의 탑재체들을 위성 한 기에 모두 실을 수 없어, 쌍둥이 위성 2기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천리안 2A와 2B특징

위성의 목적에 따라서 '우주기상관측'과 '환경·해양관측'이라는 임무를 나눠서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발사된 한국 위성 천리안 2A호의 기상 탑재체는 천리안 1호에 비해 해상도가 4배 높고 기상 센서의 채널 수도 16개로 1호(5개)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 2B호의 해양탑재체 해상도 역시 1호보다 4배 더 향상되어 산출 정보도 13종에서 26종으로 2배로 증가하였습니다. 1일 관측 횟수도 8회에서 10회로 증가했고 1호에 없는 미세먼지 관측 환경 탑재체도 가지고 있습니다. 정지궤도 위성 중 환경 탑재체가 실린 것은 천리안 2B가 처음입니다.

 

국가별 위성 및 위성 특징

댓글